달의 중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의 중력은 달 궤도를 도는 우주선의 전파 신호를 추적하여 측정되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중력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달의 중력장 측정에는 다양한 임무가 수행되었으며, 특히 GRAIL 임무를 통해 달의 뒷면 중력장까지 상세하게 매핑되었다. 달 중력장의 주요 특징은 거대한 충돌구와 관련된 매스콘의 존재이며, 이는 우주선 궤도에 영향을 미쳐 정확한 중력 모델이 필요하다. 달의 질량과 중력 상수의 곱인 GM 값은 4902.8001 km3/s2이며, 달의 중력 포텐셜은 구면 조화 함수로 표현된다. 2차 및 3차 비정규 중력 계수가 GRAIL 임무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2022년 중국은 자석을 이용하여 달 중력을 시뮬레이션하는 연구 시설을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과학 - 달의 북극
달의 북극은 북위 60° 이상의 지역으로, 다양한 크레이터들이 분포하며 물 얼음 탐사 및 활용 연구의 중요한 대상 지역으로 주목받고 여러 탐사 계획이 검토되고 있다. - 달과학 - 달의 앞면
달의 앞면은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한쪽 면으로, 어두운 '바다' 지형이 넓게 분포하며 뒷면보다 지각이 얇고 뜨거웠던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배경이 되었다. - 측지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측지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중력 - 중력 가속도
중력 가속도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가속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와 같으며, 지구의 경우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에서 가장 작고 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 중력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달의 중력 | |
---|---|
달의 중력 | |
![]() | |
기호 | ☽ |
평균 표면 중력 | 1.622 m/s² (지구의 약 0.1654 ɡ) |
질량 | 7.3477 × 10²² kg |
지구 질량의 비율 | 0.0123 M⊕ |
반지름 | 1,737.10 km |
평균 밀도 | 3,346.4 kg/m³ |
특징 | |
중력 이상 | mascon (마스콘) |
발견 | 폴 멀러와 윌리엄 쇼그렌 (1968년) |
원인 | 거대한 충돌 사건으로 인한 맨틀 융기, 밀도 차이 |
중력 모델 | |
모델 | GLGM-3 (2012) |
해상도 | 1.5km |
2. 달의 중력장 측정
달의 중력장은 궤도를 도는 우주선이 방출하는 전파 신호를 추적하여 측정되었다. 이 방법은 도플러 효과 원리를 이용하는데, 전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통해 우주선과 지구 관측소 사이의 시선 방향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달의 중력장은 우주선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추적 데이터를 분석하면 중력 이상을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낮은 달 궤도는 불안정하며, 상세 데이터 분석 결과 낮은 달 궤도에서 유일하게 안정적인 "고정 궤도"는 약 27°, 50°, 76°, 86°의 궤도 경사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 달은 동기 자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의 뒷면(달 가장자리 너머)으로 간 우주선을 직접 추적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최근 중력 회복 및 내부 연구실(GRAIL) 임무 이전까지는 달 뒷면의 중력장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달 중력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매스콘(mascon, mass concentration)의 존재이다. 매스콘은 일부 거대한 충돌구와 관련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큰 양(+)의 중력 이상 현상으로, 달 주위를 도는 우주선의 궤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인 및 무인 탐사 임무를 계획할 때 정확한 중력 모델이 필수적이다. 매스콘은 루나 오비터의 추적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3] 매스콘의 구체적인 원인과 분포, 다양한 중력장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중력 이상과 매스콘
달의 중력장은 달 궤도를 도는 우주선이 방출하는 전파 신호를 추적하여 측정됐다. 이 방법은 도플러 효과 원리를 이용하는데, 전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통해 우주선과 지구 관측소 사이의 거리 변화, 즉 시선 방향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달의 중력장은 우주선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추적 데이터를 분석하면 중력 이상을 발견할 수 있다.대부분의 낮은 달 궤도는 불안정하며, 상세 데이터 분석 결과 낮은 달 궤도에서 유일하게 안정적인 "고정 궤도"는 약 27°, 50°, 76°, 86°의 궤도 경사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 달은 동기 자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의 뒷면(달 가장자리 너머)으로 간 우주선을 직접 추적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최근 중력 회복 및 내부 연구실(GRAIL) 임무 이전까지는 달 뒷면의 중력장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달 중력장 연구에 사용된 주요 도플러 추적 임무는 다음과 같다. 표에는 임무명, 약칭, 추적된 우주선 수, 국가, 데이터 수집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 아폴로 15호와 아폴로 16호는 각각 작은 부속 위성을 발사하여 중력 데이터를 수집했다. 일본의 가구야/SELENE 임무는 3개의 위성 간 추적을 통해 달 뒷면 중력장 연구에 기여했으며, 미국의 GRAIL 임무는 두 우주선 간의 정밀 추적과 지구에서의 추적을 병행하여 매우 정확한 중력 데이터를 얻었다.
임무 | ID | 개수 | 출처 | 연도 |
---|---|---|---|---|
루나 오비터 1호 | LO1 | 1 | 미국 | 1966 |
루나 오비터 2호 | LO2 | 1 | 미국 | 1966–1967 |
루나 오비터 3호 | LO3 | 1 | 미국 | 1967 |
루나 오비터 4호 | LO4 | 1 | 미국 | 1967 |
루나 오비터 5호 | LO5 | 1 | 미국 | 1967–1968 |
아폴로 15호 부위성 | A15 | 1 | 미국 | 1971–1972 |
아폴로 16호 부위성 | A16 | 1 | 미국 | 1972 |
클레멘타인 | Cl | 1 | 미국 | 1994 |
루나 프로스펙터 | LP | 1 | 미국 | 1998–1999 |
가구야/SELENE | K/S | 3 | 일본 | 2007–2009 |
창어 1 | Ch1 | 1 | 중국 | 2007–2009 |
GRAIL | G | 2 | 미국 | 2012 |
창어 5T1 | Ch1T1 | 1 | 중국 | 2015–2018 |
다양한 임무 데이터를 종합하여 여러 달 중력장 모델이 개발됐다. 아래 표는 주요 중력장 모델의 지정명, 최고 차수 및 차수, 분석에 사용된 임무 ID, 관련 문헌을 보여준다. 임무 ID 'LO'는 5개의 루나 오비터 임무 데이터를 모두 포함함을 의미한다. GRAIL 임무 기반 모델(GL, GRGM)은 특히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
달 중력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매스콘(mascon, mass concentration)의 존재이다. 매스콘은 일부 거대한 충돌구와 관련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큰 양(+)의 중력 이상 현상이다. 이러한 중력 이상은 달 주위를 도는 우주선의 궤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인 및 무인 탐사 임무를 계획할 때 정확한 중력 모델이 필수적이다. 매스콘은 루나 오비터의 추적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됐다.[13] 실제로 아폴로 계획 이전에 수행된 항법 시험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큰 위치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는 매스콘의 영향 때문이었다.
매스콘이 형성된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충돌구를 채운 밀도 높은 현무암 용암 때문이다.[14] 하지만 용암만으로는 관측되는 중력 이상을 완전히 설명하기 어렵고, 충돌 분지 아래의 지각-맨틀 경계면이 융기한 것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루나 프로스펙터 임무의 중력 모델 분석 결과, 일부 매스콘은 표면에 현무암질 화산 활동의 증거가 보이지 않는 지역에서도 발견되어, 현무암 외 다른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됐다.[15] 한편, 폭풍의 대양처럼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현무암질 화산 활동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 전체가 뚜렷한 양의 중력 이상을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달의 질량 중심은 기하학적 중심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지구 방향으로 약 2km 정도 치우쳐 있다.[16]
2. 2. 달 중력 모델
달의 중력장은 궤도를 도는 우주선이 방출하는 전파 신호를 추적하여 측정되었다. 사용된 원리는 도플러 효과에 의존하며, 이를 통해 시선 방향 우주선 가속도는 전파 신호의 주파수 미세 변화로 측정할 수 있으며, 우주선과 지구상의 관측소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달의 중력장은 우주선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추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력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대부분의 낮은 달 궤도는 불안정하다. 수집된 상세 데이터에 따르면 낮은 달 궤도에서 유일한 "고정 궤도"는 27°, 50°, 76°, 86° 근처의 경사각에 있다.[2] 달의 동기 자전으로 인해 지구에서 달의 달 가장자리 너머까지 우주선을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의 중력 회복 및 내부 연구실(GRAIL) 임무 전까지는 달의 뒷면 중력장이 제대로 매핑되지 않았다.
중력장 유도에 사용된 정확한 도플러 추적 임무는 아래 표와 같다. 표에는 임무 우주선 이름, 간략한 지정, 정확한 추적을 가진 임무 우주선의 수, 출신 국가 및 도플러 데이터의 기간이 나와 있다. 아폴로 15호와 아폴로 16호는 부위성을 발사했다. 가구야/SELENE 임무는 달의 뒷면 추적을 위해 3개의 위성 간의 추적을 수행했다. GRAIL은 2개의 우주선 간의 매우 정확한 추적과 지구로부터의 추적을 수행했다.
임무 | ID | 개수 | 출처 | 연도 |
---|---|---|---|---|
루나 오비터 1호 | LO1 | 1 | 미국 | 1966 |
루나 오비터 2호 | LO2 | 1 | 미국 | 1966–1967 |
루나 오비터 3호 | LO3 | 1 | 미국 | 1967 |
루나 오비터 4호 | LO4 | 1 | 미국 | 1967 |
루나 오비터 5호 | LO5 | 1 | 미국 | 1967–1968 |
아폴로 15호 부위성 | A15 | 1 | 미국 | 1971–1972 |
아폴로 16호 부위성 | A16 | 1 | 미국 | 1972 |
클레멘타인 | Cl | 1 | 미국 | 1994 |
루나 프로스펙터 | LP | 1 | 미국 | 1998–1999 |
가구야/SELENE | K/S | 3 | 일본 | 2007–2009 |
창어 1 | Ch1 | 1 | 중국 | 2007–2009 |
GRAIL | G | 2 | 미국 | 2012 |
창어 5T1 | Ch1T1 | 1 | 중국 | 2015–2018 |
아래 표는 달의 중력장 모델들을 나열한다. 이 표에는 중력장의 지정, 최고 차수 및 차수, 함께 분석된 임무 ID 목록 및 인용이 나열되어 있다. 임무 ID LO에는 5개의 루나 오비터 임무가 모두 포함된다. GRAIL 기반 모델은 매우 정확하며, 다른 임무 데이터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중력 상수 ''G'' 자체의 값은 지구와 달 질량의 곱보다 정확도가 낮기 때문에, 달의 질량 ''M''에 중력 상수 ''G''를 곱한 값, 즉 달의 표준 중력 변수 ''GM''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달의 ''GM'' 값은 GRAIL 탐사선의 분석 결과 4902.8001 km3/s2이다.[17][18][19]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달의 질량 ''M''은 7.3458 × 1022 kg이며, 평균 밀도는 3346 kg/m3이다. 달의 ''GM'' 값은 지구의 ''GM'' 값의 약 1/81.30057에 해당한다.[20]
달의 중력장을 설명할 때는 보통 적도 반지름 ''R'' = 1738km를 기준으로 삼는다. 중력 포텐셜 ''V''는 구면 조화 함수 ''P''''nm''를 이용한 급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외부 지점에서의 중력 포텐셜 ''V''는 천문학과 지구물리학 분야에서는 양수로, 일반 물리학에서는 음수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는 천문학/지구물리학의 관례를 따라 양수로 표현하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
달 중력장의 주요 특징은 일부 거대한 충돌구와 관련된 큰 양의 중력 이상인 매스콘(mascon)의 존재이다. 이러한 이상은 달 주위의 우주선 궤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유인 및 무인 임무 모두의 계획에 정확한 중력 모델이 필요하다. 매스콘은 루나 오비터 추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음 발견되었다.[13] 아폴로 계획 이전의 항법 테스트에서는 매스콘의 영향으로 인해 임무 사양보다 훨씬 큰 위치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매스콘은 부분적으로 일부 충돌구를 채우는 밀도가 높은 현무암 용암의 존재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14] 그러나 용암 자체만으로는 중력 변화를 완전히 설명할 수 없으며, 지각-맨틀 경계면의 융기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루나 프로스펙터 중력 모델을 기반으로 일부 매스콘은 마레 현무암 화산의 증거를 보이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15] 폭풍의 대양과 관련된 거대한 면적의 마레 현무암 화산 활동 지역은 뚜렷한 양의 중력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달의 질량 중심은 정확히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며, 약 2km 정도 지구 쪽으로 치우쳐 있다.[16]
3. 달의 질량 및 중력 상수
4. 중력 포텐셜
위 식에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구면 조화 함수 ''Pnm''은 정규화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어떤 방식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중력 계수 ''Jn'', ''Cnm'', ''Snm''의 값이 달라진다. 이 문서에서는 정규화되지 않은 함수와 호환되는 계수를 사용한다.
구면 조화 함수 중에서 ''Pn0''는 르장드르 다항식이라고 부르며, ''m''≠0인 경우의 ''Pnm''은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이라고 한다. 여기서 아래첨자 ''n''은 차수를, ''m''은 차수를 나타내며, 항상 ''m'' ≤ ''n''이다. 위 공식의 합(Σ) 기호는 ''n'' = 2부터 시작한다. 정규화되지 않은 2차 구면 조화 함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위 세 함수 중 ''P''20만이 극점(φ = ±90°)에서 유한한 값(P20(±1)=1)을 가진다. 일반적으로도 ''P''n0(±1)=1만이 극점에서 유한하다.
어떤 위치 벡터 '''r'''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중력 포텐셜 ''V''의 기울기(gradient, ∇V)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er''', '''e'''φ, '''e'''λ는 각각 반지름 방향, 위도 방향, 경도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이다.
5. 중력 계수
GRAIL 임무를 통해 결정된 2차 및 3차 비정규 중력 계수는 아래 표와 같다.[17][18][19] `C``21`, `S``21`, `S``22`의 값이 0인 것은 주축 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세 축이 질량 중심에 위치할 때는 1차 계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nm` | `J``n` | `C``nm` | `S``nm` |
---|---|---|---|
20 | 203.3 × 10−6 | — | — |
21 | — | 0 | 0 |
22 | — | 22.4 × 10−6 | 0 |
30 | 8.46 × 10−6 | — | — |
31 | — | 28.48 × 10−6 | 5.89 × 10−6 |
32 | — | 4.84 × 10−6 | 1.67 × 10−6 |
33 | — | 1.71 × 10−6 | -0.25 × 10−6 |
중력장의 찌그러진 모양을 나타내는 `J``2` 계수는 회전 및 고체 조석의 영향을 받으며, `C``22` 계수는 고체 조석의 영향을 받는다. 이 두 계수는 평형 값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달의 상층부가 탄성 응력을 지탱할 수 있을 만큼 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C``31` 계수 역시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진다.
6. 달 중력 시뮬레이션
2022년 1월, 중국은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자석을 이용하여 낮은 달 중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작은(지름 60cm) 연구 시설을 건설했다고 한다.[21][22] 이 시설은 부분적으로 안드레 가임과 마이클 베리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안드레 가임은 이후 그래핀 연구로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두 사람은 개구리의 자기 부상 실험으로 이그 노벨상 물리학상을 2000년에 공동 수상한 바 있다.[21][22]
참조
[1]
논문
A 1.5 km-resolution gravity field model of the Moon
http://espace.librar[...]
2012-08-21
[2]
웹사이트
Bizarre Lunar Orbits
https://science.nasa[...]
NASA
2017-09-08
[3]
논문
GLGM-3: A degree-150 lunar gravity model from the historical tracking data of NASA Moon orbiters
2010
[4]
논문
Chang'E-1 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and lunar gravity field solution
https://linkinghub.e[...]
2010
[5]
논문
An improved lunar gravity field model from SELENE and historical tracking data: Revealing the farside gravity features
2010
[6]
논문
GLGM-3: A degree-150 lunar gravity model from the historical tracking data of NASA Moon orbiters
2010
[7]
논문
CEGM02: An improved lunar gravity model using Chang'E-1 orbital tracking data
https://linkinghub.e[...]
2012
[8]
논문
Gravity field of the Orientale basin from the Gravity Recovery and Interior Laboratory Mission
2016
[9]
논문
The JPL lunar gravity field to spherical harmonic degree 660 from the GRAIL Primary Mission
http://doi.wiley.com[...]
2013
[10]
논문
GRGM900C: A degree 900 lunar gravity model from GRAIL primary and extended mission data
2014
[11]
웹사이트
A global degree and order 1200 model of the lunar gravity field using GRAIL mission data
https://www.hou.usra[...]
2016
[12]
논문
A degree-100 lunar gravity model from the Chang'e 5T1 mission
2020
[13]
논문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1968
[14]
논문
The Mystery of Our Moon's Gravitational Bumps Solved?
2013-04-12
[15]
논문
A 1.5 km-resolution gravity field model of the Moon
http://espace.librar[...]
2012-08-21
[16]
웹사이트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17]
논문
Recent gravity models as a result of the Lunar Prospector mission
[18]
웹사이트
Nine Planets
http://nineplanets.o[...]
[19]
논문
High-resolution lunar gravity fields from the GRAIL Primary and Extended Missions
2014
[20]
논문
High‒degree gravity models from GRAIL primary mission data
2013
[21]
논문
Lunar interior properties from the GRAIL mission
2014
[22]
논문
The JPL Planetary and Lunar Ephemerides DE440 and DE441
2021
[23]
웹사이트
China has built an artificial moon that simulates low-gravity conditions on Earth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2-01-17
[24]
웹사이트
China building "Artificial Moon" that simulates low gravity with magnets
https://futurism.com[...]
Recurrent Ventures
2022-01-17
[25]
논문
A 1.5 km-resolution gravity field model of the Moon
http://espace.librar[...]
2012-08-21
[26]
문서
マスコン
[27]
논문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28]
논문
Recent gravity models as a result of the Lunar Prospector mission
[29]
웹사이트
Learn Gravitational Acceleration, tutorial, example, formula
http://www.easycalc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